위 2개의 어노테이션은 http의 비연결성을 극복하고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, uri를 통해 전달된 값을 파라미터로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.
uri를 통해 값을 전달하는 방식 2가지
쿼리스트링을 사용하여 여러개의 값을 전달하는 첫번째 방식은 @RequestParam을 통해 받아오고,
두번째 방식은 @PathVariable을 사용하여 받아올 수 있다.
@PathVariable는 쿼리스트링으로 전달되는 경우 외에 uri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오는 역할
괄호 안의 속성 값
ex) @RequestParam(required=false, value={변수명})
그렇다면 @RequestBody는**?**
@Requestparam과 @RequestBody를 서로 비교해보자
@RequestParam과 @RequestBody는 둘다 form태그 사용 가능
@RequestParam은 json으로 안보내짐으로 알고 테스트 후 마무리 할랬는데